본문 바로가기

[퇴직연금] 나의 퇴직금은 얼마? 퇴직연금 수령, 퇴직연금 DC 알아보기

자산 키움 2022. 11. 30.

 

DB,DC

 

지난 연금종류 소개에 있어서 퇴직연금을 소개해드렸습니다. 퇴직연금은 개인이 운용할 수 있어, 그 운용방법과 차이점을 아는 것이 중요합니다. 대표적인 퇴직연금인 DB(확정급여), DC(확정기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DB(확정급여) 
2. DC(확정기여) 
3. DB(확정급여) / DC(확정기여) 선택하기 
4. DC(확정기여)의 선택 기준
5. DC(확정기여) 운용방법

 

 

 

DB(확정급여) 


퇴직연금은 운용주체에 따라 구분할 수 있습니다. 바로 DB(확정급여)와 DC(확정기여)입니다.

 

DB(확정급여)의 경우, 근로자의 퇴직급여는 사전에 확정되고, 기업은 재원 마련을 위해 투자를 합니다. 즉, 나의 퇴직금은 정해져 있고 이 급여를 지급하기 위해서 기업이 투자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DB(확정급여)의 퇴직금은 퇴직 시 직전 3개월 평균임금 X 근속연수로 계산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예를 들어, 퇴직 직전 3개월 평균임금이 500만 원이라고 가정하고 20년을 근속했다면 500만 원 X 20년 = 1억원이 퇴직금이 되는 것입니다.

 

 

 

DC(확정기여)


DC(확정기여)의 경우 기업의 부담금은 사전에 확정되고, 추가금액은 개인의 투자성과에 따라 달라집니다. DC(확정기여)의 퇴직금은 매년 임금총액의 1/12를 기업에서 부담하고 투자수익으로 구성됩니다.

 

즉, DC(확정기여)의 퇴직금은 = 기업부담금이 500만원 + a(개인의 투자성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요즘에 복리를 통한 투자를 원하시는 분이 많아지면서, DC(확정기여)를 선호하시는 분이 많아졌습니다.

 

 

 

DB(확정급여), DC(확정기여) 선택하기


DB(확정급여), DC(확정기여)를 선택할 수 있는 회사라면 고민이 되실 겁니다. 보통 얕고 긴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면 DB(확정급여) 굵고 짧은 직장생활을 하고 있다면 DC(확정기여)라고 많이 소개되는데요.

 

DB(확정급여)의 경우, 퇴직 시 평균임금과 근속연수의 곱만큼 퇴직금이 지급되므로 평균임금과 근속연수가 모두 높아야만 합니다. DC(확정기여)의 경우, 평균임금과 근속년수가 아닌 자신의 투자 수익금이 퇴직금에 영향을 주므로, 임금상승률이 높지 않거나 근속연수가 길지 않은 회사가 유리하기 때문입니다.

DB(확정급여) DC(확정기여)
▸ 연공서열 회사에서 승진기회가 많은 저 직급 근로자
▸ 임금상승률이 높은 기업 근로자
▸ 장기 근속이 예상되는 근로자
▸ 임금 상승기회가 적은 고 직급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 임금상승률이 정체되거나 낮은 근로자
▸ 임금 피크제를 앞둔 근로자

 

 

 

DC(확정기여)의 선택 기준

나의 수익이 연평균 4%가 넘는다면 DC를 고민할 수 있습니다. 국가별 최근 10년간 연평균 수익률은 아래와 같습니다.

 

- 한국 2.7% (21%)

- 일본 5.5% (55%)

- 호주 7.7% (91%)

- 미국 8.6% (98%)

 

한국이 2.7%로 가장 낮은 수치입니다. DB(확정급여)의 경우 연평균 상승률이 4%라고 알려진 것에 비하면,

오히려 DC(확정기여)의 선택이 손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수익률 옆에 괄호 표시된 수치에 주목하실 필요가 있습니다. 21%, 55%, 91%, 98 이 수치들은 투자 포지션을 말합니다. 한국은 총금액 중 21%만이 투자를 하고 있고, 나머지 약 80% 금액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즉, DC(확정기여) 형을 선택했음에도 21%만이 투자를 진행하고, 80%는 투자하지 않고 있는 상황입니다.

 

 

 

DC(확정기여) 운용방법

퇴직연금이니만큼 단기간의 성과보다는 장기투자에 맞는 포트폴리오 구성이 필요합니다. 앞서, 개인연금에서 소개드린 세이브로라는 사이트를 통해서 검색할 수 있습니다. 주식, 채권, 펀드, ETF 등을 검색하고 비교할 수 있는 사이트로 순자산, 거래량, 총보수 등을 살펴보시고, 상품을 클릭하면 AP(구매하실 수 있는 증권사)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퇴직연금 ETF
ETF 검색화면 / 제공: 세이브로

 

퇴직연금 ETF 상세
ETF 상세화면 AP 확인하기 / 제공: 세이브로

 

 

[요약 ]

1. 퇴직연금은 운용에 따라 연금액이 차이 난다.
2. 퇴직연금은 대표적으로 DB(확정급여), DC(확정기여)로 구분할 수 있다.
3. DB(확정급여), DC(확정기여)는 자산운용주체가 누구냐에 따라 차이가 있다.
4. DC(확정기여) 형 포트폴리오 검색을 위해 세이브로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다.

 

 


[함께 읽으면 좋은 글]

[연금종류] 국민연금, 퇴직연금, 기초연금, 연금보험? 연금 총 정리

 

[연금종류] 국민연금, 퇴직연금, 기초연금, 연금보험? 연금 총 정리

국민연금, 퇴직연금, 기초연금, 연금보험? 연금 총 정리 - J씨의금융일기 - 국민연금부터 시작해서 노후에 내가 받을 수 있는 연금에 대해서 관심이 많습니다. 오늘은 제가 받을 수 있는 연금에

jfinancediary.tistory.com

[개인연금] 개인형퇴직연금? 세액공제? 소득공제? 연금저축 IRP 비교

 

[개인연금] 개인형퇴직연금? 세액공제? 소득공제? 연금저축 IRP 비교

개인형 퇴직연금? 세액공제? 소득공제? 연금저축 IRP 비교하기 - J씨의금융일기 - 지난 연금종류 소개에 있어서 개인연금을 소개해드렸습니다. 개인연금은 개인이 운용할 수 있어, 그 운용방법과

jfinancediary.tistory.com

[연금세금] 국민연금세금, 퇴직연금세금 연금세금 총 정리

 

[연금세금] 국민연금세금, 퇴직연금세금 연금세금 총 정리

국민연금 세금, 퇴직연금 세금 연금 세금 총 정리 - J씨의금융일기 - 개인이 운용하는 개인연금, 퇴직연금에 대해서도 정리해보았습니다. 그럼 이렇게 운용한 연금에 대해서 수령할 때, 세금 또

jfinancediary.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