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477

[제로페이] 제로페이 사용법, 제로페이 할인, 제로페이 구매, 제로페이 총 정리

투자활동뿐만 아니라 소비를 절약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수익 10%를 얻는 것보다 떼론 소비 10%를 절약하는 것이 훨씬 쉬울 때가 있죠. 아주 간편하게 생활비를 최대 10%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목차] 1. 제로페이란 2. 서울페이란 3. 할인 혜택 4. 기타 상품 제로페이란 제로페이는 소상공인의 결제 수수료 부담을 줄이기 위한 모바일 간편 결제 서비스입니다. 소상공인에겐 0% 수수료 혜택을 주고, 소비자에겐 제로 페이 사용금액에 대한 30% 소득공제와, 공공시설 할인 혜택이 있습니다. QR코드를 이용한 계좌이체 기반 서비스로, 소비자 계좌에서 판매자의 계좌로 직접 이체되어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서울페이란 제로페이는 그 자체로 페이앱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민간 결제사앱을 활용합니다... 워런 버핏 주주 서한 2022. 12. 2.

[공모주] 공모주 일정 등 공모주 청약 총 정리

주식을 값싼 가격에 사고, 비싼 가격에 판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겠죠. 상장하는 주식을 미리 접할 수 있는 공모주에 대하여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목차] 1. 공모주란? 2. 공모주 청약 방법 3. 증권사별 수수료 공모주란? 비상장기업이 코스피나 코스닥에서 주식을 거래할 수 있도록 상장을 위해서 기업공개(IPO)를 진행하면서 투자자를 대상으로 주식을 매각하는 과정을 거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매각하는 주식이 바로 공모주입니다. 공모주는 청약 과정을 통해서, 참여자에게 분배가 되는데 아파트 청약처럼 사전 신청을 받고, 경쟁률에 따라 배분됩니다. 공모주는 균등, 비례 청약의 두 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비례는 청약금액 순위에 따라서 공모주를 배분하는 방법이고, 균등은 최소금액을 입금했다면 모두 고르게 분배받.. 워런 버핏 주주 서한 2022. 12. 1.

[주식] 삼성? 카카오? 국내주식부터 미국주식까지 주식 총 정리

2021년부터 주식에 대해 많은 관심이 쏟아졌습니다. 삼성, 카카오 등 국내 주식뿐만 아니라 미국 주식에도 많은 관심을 보였는데요. 요즘엔 펀드에도 많은 분들이 관심을 보이고 있어, 모든 내용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주식이란? 2. 주식 보유의 이점 3. 주식 투자 방법 4. 펀드 투자 주식이란? 주식은 주식을 보유한 사람에게 해당 주식을 발행한 기업에 대한 부분적인 법적 소유권을 제공하는 것입니다.거래소에 상장된 시장가치 10억의 기업이 있고, 주당 가격이 1만 원이라고 가정해봅니다. 시장가치 10억 = 주당 가격 1만 원 X 100,000주. 약 50,000주를 보유한 투자자는 법적 소유권을 1/2을 보유한 것입니다. 주식 보유의 이점 ①시세차익 우상향 하는 주식을 매수할 시, 장기적인 주.. 워런 버핏 주주 서한 2022. 12. 1.

[가상화폐] 블록체인, 비트코인, 이더리움, NFT, 메타버스 총 정리

비트코인 투자를 시작으로 가상화폐에 대해 관심이 많아졌습니다. 블록체인 기술을 이용한 신기술도 많이 등장하고 있는데요. 오늘은 블록체인부터 시작하여 관련 개념을 전부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1. 블록체인 2.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3. 디파이 4. NFT 블록체인 블록들이 모여 있는 체인, 데이터베이스와 유사한 개념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블록이란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추가하는 방법으로, 블록에는 중요한 정보가 담겨 있습니다. 블록체인의 특징에는 추가만 가능하다는 점(삭제, 수정 불가), 탈중앙화(특정 개인 관리 불가)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블록의 해시(함수와 유사)는 데이터와 이전 블록의 해시로 구성되는데, 이를 해석하면 과거의 해시에 새로운 정보를 추가하여 블록을 생성합니다. 블록의 해시는 결정론적.. 워런 버핏 주주 서한 2022. 12. 1.

[부동산 세금] 종합부동산세, 부동산수수료, 부동산취득세 부동산스터디하기

"1 거주는 진리"라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집값이 하락해도, 주거를 해결해준다는 장점 때문인데요. 가격뿐만 아니라 세금까지 스터디해야 똑똑하게 내 집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본세와 부가세로 구분하기 2. 국세와 지방세로 구분하기 3. 국세의 종류 4. 지방세의 종류 5. 기타 개념 본세와 부가세로 구분하기 부동산 세금은 먼저 본세와 부가세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자주 사용하는 개념은 아니지만 부동산 세금을 처리하면서 한 번씩은 접하게 되므로 정리해두시기를 추천합니다. 본세는 부동산의 매매, 보유, 임대, 양도, 이전에 따라 발생하는 세금입니다. 부가세는 본세에 일정한 비율로 과세되는 세금입니다. 부동산 세금은 인지세부터 시작하여, 농어촌특별세, 종합부동산세, 재산세, 임대소득세 등.. 워런 버핏 주주 서한 2022. 12. 1.